맨위로가기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2017년에 개최되었으며, 177개국과 세계 태권도 연맹 난민팀에서 94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대한민국이 금메달 5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터키, 세르비아, 러시아, 영국 등이 뒤를 이었다.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아제르바이잔, 독일, 니제르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여자부에서는 세르비아, 튀르키예, 코트디부아르, 영국 등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군의 스포츠 -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1997년 전라북도 무주군과 전주시에서 개최된 동계 유니버시아드는 태극기 색상의 엠블럼과 다람쥐 '무돌이' 마스코트를 사용했으며, 무주에서는 설상 경기가, 전주에서는 빙상 경기가 열렸고 삼양식품이 공식 스폰서로 참여했다.
  • 무주군의 스포츠 - 무주점핑파크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태권도 경기는 구덕실내체육관에서 35개국 219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남자 8체급과 여자 8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고 중화 타이베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11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011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경주에서 개최되어 144개국 949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남자부는 이란, 여자부는 대한민국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이란은 남자부에서 대한민국을 제치고 처음으로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이변을 낳았다.
  • 2017년 스포츠 - 2017년 월드 게임
    2017년 월드 게임은 2017년 7월 20일부터 30일까지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98개국이 참가한 국제 스포츠 대회로, 27개의 정식 종목과 4개의 초청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러시아가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대한민국은 18위를 기록했다.
  • 2017년 스포츠 - 2017년 여자 럭비 월드컵
    아일랜드에서 개최된 2017년 여자 럭비 월드컵은 12개국이 참가하여 더블린과 벨파스트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뉴질랜드가 잉글랜드를 꺾고 우승, 프랑스가 3위, 미국이 4위를 차지했다.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대회 개요
명칭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현지 대회 명칭2017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횟수제23회
개최지대한민국 무주군
경기장태권도원
날짜2017년 6월 22일 ~ 6월 30일
참가국139개국
참가 선수872명
세부 종목16개 (남자 8, 여자 8)
결과
남자 우승국대한민국
여자 우승국대한민국
최다 메달 획득국대한민국
대회 연혁
이전 대회2015년 첼랴빈스크
이후 대회2019년 맨체스터
관련 이미지
2017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로고
기타 정보
관련 뉴스2017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조직위원회 출범 - 세계 태권도 연맹

2. 메달 집계


2. 1. 메달 순위

순위국가합계
151410
22103
3세르비아2002
41427
51135
61034
71012
8독일1001
1001
니제르1001
11이란0314
120202
130123
140112
150101
베트남0101
170022
18불가리아0011
0011
크로아티아0011
0011
0011
0011
0011
라트비아0011
0011
네덜란드0011
슬로베니아0011
0011
0011
합계16163264


2. 2. 남자부 메달

람나롱 사웨키하레 (태국)플라이급 (-58kg)정윤조 (대한민국)미하일 아르타모노프 (러시아)카를로스 나바로 (멕시코)
헤수스 토르토사 카브레라 (스페인)밴텀급 (-63kg)자오솨이 (중국)미르하셈 호세이니 (이란)브래들리 신든 (영국)
마하마드 마마도프 (아제르바이잔)페더급 (-68kg)이대훈 (대한민국)황유젠 (중화 타이베이)블라디미르 다라클리에프 (불가리아)
아흐마드 아부가우쉬 (요르단)라이트급 (-74kg)막심 흐람초프 (러시아)니키타 라팔로비치 (우즈베키스탄)마수드 하지자바레흐 (이란)
카이라트 사림사코프 (카자흐스탄)웰터급 (-80kg)밀라드 베이기 (아제르바이잔)안톤 코트코프 (러시아)데이먼 삼순 (영국)
아론 쿡 (몰도바)미들급 (-87kg)알렉산더 바흐만 (독일)블라디슬라프 라린 (러시아)인교돈 (대한민국)
이반 트라이코비치 (슬로베니아)헤비급 (+87kg)압둘 라자크 이수푸 (니제르)마하마 초 (영국)앙토니 오바메 (가봉)
로만 쿠즈네초프 (러시아)


2. 2. 1. 핀급 (-54kg)



김태훈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아르민 하디포르 세이그할라니(이란)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비토 델아킬라(이탈리아)와 람나롱 사웨키하레(태국)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 2. 2. 플라이급 (-58kg)

wikitable

플라이급 (-58kg) 정윤조 (KOR) 미하일 아르타모노프 (RUS) 카를로스 나바로 (MEX)
헤수스 토르토사 카브레라 (ESP)


2. 2. 3. 밴텀급 (-63kg)

자오솨이 (CHN)

후세인 미르핫헴 (IRI)

브래들리 신든 (GBR)

마하마드 마마도프 (AZE)

2. 2. 4. 페더급 (-68kg)

페더급 (−68kg)22x20px 이대훈 (KOR)22x20px 황유젠 (TPE)22x20px 블라디미르 다라클리에프 (BUL)
22x20px 아흐마드 아부가우쉬 (JOR)


2. 2. 5. 라이트급 (-74kg)

막심 흐람초프 (RUS) 니키타 라팔로비치 (UZB) 마수드 하지자바레흐 (IRI)
카이라트 사림사코프 (KAZ)


2. 2. 6. 웰터급 (-80kg)

웰터급 (-80kg) 밀라드 베이기 (AZE) 안톤 코트코프 (RUS) 데이먼 삼순 (GBR)
아론 쿡 (MDA)


2. 2. 7. 미들급 (-87kg)

알렉산더 바흐만 (GER) 블라디슬라프 라린 (RUS) 인교돈 (KOR)
이반 트라이코비치 (SLO)


2. 2. 8. 헤비급 (+87kg)

헤비급 (+87kg) 압둘 라자크 이수푸 (NIG) 마하마 초 (GBR) 앙토니 오바메 (GAB)
로만 쿠즈네초프 (RUS)


2. 3. 여자부 메달

여자부 메달
체급
핀급 (-46kg) 심재영 쯔엉티낌뚜옌 안드레아 라미레스
나파폰 차라나왓
플라이급 (-49kg) 바냐 스탄코비치 파니팍 옹파타나낏 원런윈타오
크리스티나 토미치
밴텀급 (-53kg) 젤리하 아르스 타티아나 쿠다쇼바 디노라혼 마마디브라기모바
이네세 타르비다
페더급 (-57kg) 이아름 하티제 퀴브라 일귄 제이드 존스
니키타 글라스노비치
라이트급 (-62kg) 뤼트 그바그비 키미아 알리자데흐 김소희
타티아나 쿠즈미나
웰터급 (-67kg) 누르 타타르 페이지 맥퍼슨 김잔디
장멍구이
미들급 (-73kg) 밀리차 만디치 오혜리 마리아 에스피노사
레스미 오힝크
헤비급 (+73kg) 비앙카 워크든 재키 갤러웨이 정수인
안새봄


2. 3. 1. 핀급 (-46kg)

핀급 (-46kg)
심재영 (KOR)
쯔엉티낌뚜옌 (VIE)
안드레아 라미레스 (COL)
나파폰 차라나왓 (THA)


2. 3. 2. 플라이급 (-49kg)

플라이급 (−49kg) 바냐 스탄코비치 (SRB) 파니팍 옹파타나낏 (THA) 원런윈타오 (CHN)
크리스티나 토미치 (CRO)


2. 3. 3. 밴텀급 (-53kg)

wikitable

젤리하 아르스 (TUR) 타티아나 쿠다쇼바 (RUS) 디노라혼 마마디브라기모바 (UZB)
이네세 타르비다 (LAT)


2. 3. 4. 페더급 (-57kg)

페더급 (−57kg) 이아름 (KOR) 하티제 퀴브라 일귄 (TUR) 제이드 존스 (GBR)
니키타 글라스노비치 (SWE)


2. 3. 5. 라이트급 (-62kg)

라이트급 (−62kg) 뤼트 그바그비 (CIV) 키미아 알리자데흐 (IRI) 김소희 (KOR)
타티아나 쿠즈미나 (RUS)


2. 3. 6. 웰터급 (-67kg)

누르 타타르 (TUR) 페이지 맥퍼슨 (USA) 김잔디 (KOR)
장멍구이 (CHN)


2. 3. 7. 미들급 (-73kg)

미들급 (-73kg)
밀리차 만디치 (SRB) 오혜리 (KOR) 마리아 에스피노사 (MEX)
레스미 오힝크 (NED)


2. 3. 8. 헤비급 (+73kg)

헤비급 (+73kg)
비앙카 워크든 (GBR)
재키 갤러웨이 (USA)
정수인 (CHN)
안새봄 (KOR)


3. 팀 순위

순위나라점수
1대한민국67
2러시아62
3align=left|46
4아제르바이잔40
5영국40
6중국35
7중화 타이베이32
8멕시코31
9우즈베키스탄29
10카자흐스탄29
11스페인29



순위나라점수
1대한민국63
2터키53
3세르비아38
4미국33
5영국32
6러시아32
7중국31
8코트디부아르26
9멕시코26
10모로코26
11베트남25


3. 1. 남자부 팀 순위

순위나라점수
1대한민국67
2러시아62
3align=left|46
4아제르바이잔40
5영국40
6중국35
7중화 타이베이32
8멕시코31
9우즈베키스탄29
10카자흐스탄29
11스페인29


3. 2. 여자부 팀 순위

wikitable

순위나라점수
1대한민국63
2터키53
3세르비아38
4미국33
5영국32
6러시아32
7중국31
8코트디부아르26
9멕시코26
10모로코26
11베트남25


4. 참가국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는 총 177개국과 세계 태권도 연맹 난민팀에서 94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2017 World Taekwondo Championships Inaugurates Organizing Committee - World Taekwondo Federation http://www.worldtaek[...] 2016-03-23
[2] 뉴스 [무주 세계태권도]조정원 WTF 총재 "9월 방북 기대, ITF와 많은 대화 나눌 것" http://www.newsis.co[...] 2017-06-24
[3] 뉴스 무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프랑스 선수단 첫 입국 http://news1.kr/arti[...] 2017-06-17
[4] 뉴스 개회사 하는 조정원 세계태권도연맹 총재 http://www.yonhapnew[...] 2017-06-24
[5] 뉴스 [전문] 文대통령 '2017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축사 http://www.yonhapnew[...] 2017-06-24
[6] 뉴스 무주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성공기원 숲길 걷기행사 http://www.yonhapnew[...] 2017-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